오행생식요법 강좌2010. 7. 3. 11:00

올 봄에 왜 뱀이 안나오나 했는데 땅속에서 나와서 허물을 벗을 때 온도가 맟아야 하는데 늧게까지 추워서 날 풀릴때까지 기다리니 늧게 본 것이고

7월달이 되어서 아랫녘에서 장마가 시작되어 북상하니 유구에 닿고 비로소 궁굼하여 기다리던 한여름 매미가 저녘에 운다.매미가 비맟고 굼뱅이 껍질을 벗어 던졌나 보다.마늘을 물에 담그면 흐물흐물해져서 쉽게 벗겨진다.

매미나 뱀이나 껍질을 벗어 놓으면 젊어진다.

이슬을 맟고 이슬을 먹고 울어 제치다 몸이 다하면 피부인 껍질을 벗어 놓고 새 매미가 되고 뱀은 겨울을 나야 허물을 벗는다.

과학자는 자연을 관찰하여 매미가 어떻게 환골 탈태하는가를 알아야 한다.매미가 늙어서 풀에 않았을 때부터호흡을 관찰해야 한다.매미의 숨소리를 들을 수 있는 확성기도 필요하다.

인간의 피부는 인간의 호흡에 의해 끊임 없이 노쇠한 세포는 때로 밀어내고 새 세포가 생성된다.매미를 잘 연구하면 인간도 허물을 벗고 새사람이 되는 방법도 나오리라 본다.이유는 인간도 생명체요 매미도 생명체요 인간은 만물의 영장이므로 매미도 하는데 인간이 못할리가 없다.전생에 매미였던 사람은 눈썹과 눈썹의 간격이 넓다.

나난이는 남의 알을 가지고 나난나난하고 최면을 걸면 나난이가 된다고 한다.천하에 추녀 박씨부인도 허물을 벗으니 천하미인이 되었다고 전한다.어떻하면 늙은 피부를 벗어던지고 싱싱한 몸으로 만들 수 있는가?

문제는 호흡에 있다고 본다.호흡은 폐로하고 피부는 폐대장이 지배하니 폐 대장과 관련이 있다.

먼저 병을 완전하게 고친후에

건강하게 만드는 능력이 생긴후에

호흡을 길게 하여 맥력을 4.5배로 만들고

호흡을 길게하여 맥력을 6.7배로 만들고

호흡을 길게하면 새 생명이 안에서 생성되고 허물이 벗겨지고 우윳빛피부가 만들어지면서 1.2.3성으로 돌아온다 全知全能한 모습으로.

본래인간은 완전했는데 인간이 불에 익힌 화식을 먹으면서 능력이 퇴화되었으니

처음엔 사해가 막히고

두번째는 기경팔맥이 막히고

세번째는 운기조식이 안되고

네번째는 임독이 막히고

지금의 아무능력도 없는 티미한 인간이 되었다.아무능력도 없는 인간중에도 인간의 능력을 개발하여 인간이 본래 이러한 능력이 있으니 수련하기를 바랐건만 놀고 먹을려는 인간들에 의해서 신격화되고 성인화시켜버렸다.그렇게 되기가 쉽지 않았으니까....

우리가 생식을 지속적으로 먹으면 건강하기만 하지 초능력은 나오지 않는다.

건강하게 만드는 능력이 생긴후에 호흡을하여 임.독을 열어야 한다.

24정경만 순환시켜도 죽지 않는다.

선생님은 당신이 확철대오와 신통은 이루었으나 몸이 이루어지지 않아 지구에 영향을 받을 수 밖에 없다 하셨다.정. 기.신이 완전해야 지구로부터 자유를 누릴수 있고 지구의 영향권에서 벗어날 수 있다고 하셨다.

인간은 지구의 영향을 받는다.지구의 자전에 맟추어 밤낯으로 생활하고 회전수에 맟추어 나이를 만들었다.

본래 인간은 지구의 영향을 받지 않을 뿐만아니라 우주의 영향도 받지 않는다.

병을 깨야 한다.건강해지고 축기하고 임독맥트고 운기행공하며 기경팔맥열고 사해혈을 열어 완전한 인간이 되어야 한다.

이 몸이란 전지전능한 초능력을 개발할수 있는 몸이니 인체의 비밀을 알았으면 몸을 가꿀수 밖에 없지 않는가?

인간으로 태어나서 거듭수련을 통하여 하늘이 되는 과정을 하나하나 보여준다면 믿을 것이 아닌가?만일 하늘에서 하느님이 뚝 떨어져서 전지전능한 능력을 행사한다면인간이 하느님의 종밖에 더 되겠는가?그렇다면 인간의 무한한능력을 믿지 못하고 종놈되는 것이지 인류를 구원하는 것이 절대 아니다.

본래 인간은 완전했으므로 완전한 인간의 모습을 만들어 가다보면 인간이 본래 하늘이라는 것을 자각하고 많은 사람이 하늘을 길을 갈 것이라 확신한다.

문제는 내가 먼저 되느냐 당신이 먼저 되느냐이다.

'오행생식요법 강좌' 카테고리의 다른 글

弦脈(간담이 허약한 맥상)  (0) 2010.07.09
낙숫물이 댓돌 뚫는다.  (0) 2010.07.05
4.5성 6.7성(怪疾)  (0) 2010.07.01
음양체질분류법  (0) 2010.04.26
천기  (0) 2010.04.10
Posted by 함미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