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 첫째가 맛이다.
신맛의 씨앗
쓴맛의 씨앗
단맛의 씨앗
매운맛의 씨앗
짠맛의 씨앗
떫은맛의 씨앗
2 둘째가 씨앗의 일생이다.
발아하니 목이요
꽃이 피니 화요
열매맺으니 토요
열매 익으니 금이요
떨어지니 씨앗이요 수이다.
상화는 생명력이 있어 살아 숨쉬므로 자연의 조건이 맟으면 또 발아 한다.언제 어디서든지.
3 세째는 씨앗의 종류이다.
곡식은 쌀을 먹는다.
과일은 풀 넝쿨 나무등에서 매달린다.
야채는 잎을 먹는다.
근과는 뿌리식품이다.
육류는 가축이요
조미는 약념을 해서 먹는다.
예를 들면 금기인 배추 옥파 파등은 땅위에서 무우 마늘 생강등은 땅밑에서 맻히는데 금인 바위가 땅위에 드러나 위용을 자랑하고 땅밑에 박혀 있어 기세가 있는 이치이다.
곡식을 심다보면 풀의 이치를 알수 있고
가축을 키우면 짐승의 움직임을 알수 있고
인간을 알면 만물에 관통한다.
4 넷째가 씨앗의 약이다.
신맛의 씨는 신맛나는 것이 약 식초
쓴맛의 씨는 쓴맛나는 것이 약 커피
단맛의 씨는 단맛나는 것이 약 설탕
매운맛의 씨는 매운맛나는 것이 약 후추
짠맛의 씨는 짠맛나는 것이 약 소금
떫은맛의 씨는 덟은맛 나는 것이 약 백반
물고기를 예로 들면 바닷물고기는 소금의 농도를 맟추고 민물고기는 민물의 농도를 맟춘다.화태과에는 화형이 목태과에는 목향이 대운이 오는 이치와 같다.
5 다섯째는 씨앗의 기후다.
바람의 영향
열의 영향
습의 영향
건조의 영향
추위의 영향
일기변화의 영향
6 여섯째는 흙이다.
부드러운 흙 나무와 흙이 어우러져 조화가 있는 땅의 흙 청산의 흙 청토
산한 흙 돌밭 자갈밭 비탈밭 산전 적토
굳은 흙 황토 인간의 손이 가서 옥토가 된다.
메마른 흙 물기가 없어 사막이 되어 흙의 누런 성분은 하늘로 날고 모래사막이 된다.또는 냇가 강가 바닷가의 모래
진 흙 냇물가가장자리나 뻘밭의 흙
7 일곱째는 지형지세와 문명의 이기인 전파공해 온난화이다.
열대지방은 목 화 상화요
한대 지방은 토 금 수이다.
각지방의 특산물이 있는데 지구의 풍 열 습 조 한 화에 맟게 발달 되었다.
광천 토굴젓 한산모시 안성마춤 이천쌀 대구사과 금산인삼등이다.
온난화가 되면서 우리나라에서도 사탕수수를 재배하고 단감나무도 유구까지 왔다.
개발에 산천을 뚫어 길을내어 도시가 들어섰으며 비닐과 난방시설의 등장으로 한겨울에도 싱싱한 채소를 먹는다.
문명의 이기가 과학인데 무선통신은 생명체에 직접적으로 영향을 미친다.과학을 최우선으로 치는 곳이 유럽이요 영국은 과학의 꽃봉우리요 미국은 개화된 꽃이다.오랜 자연 현상에 따른 삶을 무시하고 산지사방을 도시계획하여 개발했으니 자연재해가 특히 심하다.그곳에 오래 살았던 사람들을 모시는 것도 해법에 하나가 되리라 본다.
'자연의 원리' 카테고리의 다른 글
子午 (0) | 2011.06.28 |
---|---|
인간의 길 (1) | 2011.06.17 |
오행섭생대학 (0) | 2011.06.07 |
예언 그리고 사실을 보는 눈 (0) | 2011.05.30 |
발상의 전환(융합원자로) (0) | 2011.05.19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