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감록이나 격암유록을 보면 三豊이 나온다.
三豊 석삼+풍년풍이다.농사가 잘되면 풍년이 들었다하고 풍족한 물자 풍부한 물량 풍족한 의식 풍성하다.그런데 앞이 석삼이다.
우리는 통상 결혼이나 환갑잔치에 몸을 꾸민다.
머리는 단정하게 위로 틀어서 족두리를 씌우고
얼굴은 분단장에 연지 곤지 찍고
옷은 곱게 다려 수놓아진 색동저고리에
신발도 꽃신을 신고 버선에 치장한다...
그러면 글자인 三(세번 변화시킴)을 어떻게 글자로 풍성하게 할까?
1 三에서 뚫을 곤인 아라비아 숫자 일(1)을 가미하면 王 이 되고 가장 잘 꾸민 것이요
2 王에다 삿갓을 씌우니 全 자가 되는 것이요
3 全에다 여덟팔자 팔자 걸음을 넣으니 金 이 된다.
많은 이들이 三豊을 나름대로 해석하여서 곡식 종자가 끊어지지 않는 땅지명을 삼풍이라 하지만 난 이렇게 해석한다.엉뚱한 발상이지만 그래도 이게 맟을 것 같다.그런의미에서 자연의 원리로 보면
弓弓은 목이요 서있는 것이요
乙乙은 화요 날개 있는 것이요
田田은 토요 걸어다니는 것이요
三豊은 금이요 땅속에서 사는 것이요
海印은 수요 물에서 사는 것이요
十勝은 상화요 변신하는 것이니 결국 목 화 토 금 수 상화요 천 지 인의 이치다.